지난주부터 이어진 산불은 재난 취약계층인 노년층부터 덮쳤습니다. <br /> <br />경북 지역 사망자 가운데, 대부분이 60~80대 노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민가로 번지는 산불을 미처 피하지 못했거나, 대피 중에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영덕에서 숨진 100세 노인은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채, 집이 불에 타 매몰 돼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서는 미처 대피하지 못한 노인들을 구조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근 / 산림청 대변인 (그제) : 주민 대피를 못한 곳이 있는지, 지역 주민들을 공무원하고 소방, 경찰이 협력해서 가가호호 방문해 직접 모시고 나오는 상황도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사전에 더 빨리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느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빠르게 확산한 가운데 긴급재난문자를 받은 뒤 대피하기에는 시간이 충분치 않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경북 안동 임하리 주민 : 시골 어른들이 집에 TV 켜놓고 있으면 (대피방송이) 안 들려. 그래서 우리도 여기 엄마, 아버지 계시다가 불 비치는 거 보고 나오셨거든. TV 보셨으면 못 나오셨을 거야. 연기가 들어와서 나와서 확인해 보니까….] <br /> <br />강풍이 예보됐고, 주민 대부분이 스스로 대피가 어려운 고령자인 점을 감안해 사전에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건 물론, 풍향이 바뀌어 대피 장소를 급하게 변경해야 하는 경우도 대비가 필요했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고기연 / 한국산불학회장 : 마을의 이장님들, 부녀회장님, 또 청년회장 통해서 안전하게 확인을 해서 안전한 공동 장소로 대피를 하고, 또 필요하면 교통수단도 마을이나 면에서 확보해서 제공하는….] <br /> <br />노인이나 장애인 등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세심한 고려와 함께 고립된 농어촌 지역의 현실을 감안한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의 마련과 작동이 절실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부장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| 전자인 <br />디자인 | 정은옥 <br />자막뉴스 | 이 선 안진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32809460536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